총칼을 들고 싸우는 무장독립운동이 아닌 전혀 다른 각도에서 독립운동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독립운동가 분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정의 아들로 한국에서 최초로 외과의사가 되어 청진기를 들고 조국 독립을 위해 싸운 박서양도 마찬가지였습니다.<br /><br />박서양의 아버지였던 백정 박성춘이 장티푸스에 걸려 고생할 때 의료 선교사이자 제중원 의학교 원장이던 에비슨이 신분을 차별하지 않고 치료를 해줬고 이 사건으로 박성춘은 기독교인의 되어 구국운동, 백정 해방 운동, 계몽 운동을 적극 전개합니다.<br /> <br />이러한 인연으로 박서양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에 입학하게 되고 제1회 졸업생되어 한국 최초로 의사면허를 받게 됩니다.<br /><br />의학교수라는 안정적인 직업으로 후진을 양성하면서 충분히 개인적인 명예를 누릴 수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박서양은 당시 의료 환경이 열악하던 간도로 이주하여 독립군을 포함한 간도 지역 조선인들의 진료를 위한 구세병원을 개업했고 숭신학교를 세워 교장을 역임합니다.<br /><br />또한 독립운동 단체였던 대한국민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뛰어들었으며, 1919년 대한국민회 군사령부에서 최초이자 마지막이던 군의관을 맡아 만주에서 벌어진 의병 전투에도 종군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932년 6월 윤봉길 의거 사건 직후 그가 세운 숭신학교가 불온사상을 고취한다는 <br />이유로 폐교되어 독립운동에 대한 기반이 무너지게 되자 고국으로 돌아오게 되고 4년 뒤인 1940년 12월 15일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2008년 8월 15일 독립 운동의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<br />그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 ‘제중원’에 의해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됩니다.<br /><br />CBS노컷뉴스와 '역사N교육연구소' 심용환 소장이 함께하는 '근현대사 똑바로 보기'는 의사이자 교육가 그리고 독립운동가 박서양의 삶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봤습니다.